파이썬 try - except 예외처리
파이썬 try - except 예외처리 아래의 경우처럼 리스트 안의 딕셔너리의 key값을 통해 요소를 출력할 때, 예외를 넘기고 진행할 수 있다. people = [ {'name': 'a', 'age': 10}, {'name': 'b', 'age': 20}, {'name': 'c', 'age': 30}, {'name': 'd', 'age': 40}, {'name': 'e', 'age': 5}, {'name': 'f',}, # age가 없는 딕셔너리가 있어서 error가 난다. {'name': 'g', 'age': 15}, {'name': 'h', 'age': 25} ] for person in people: try: if person['age'] > 20: print(person['name']) exce..
2021. 12. 21.
파이썬 반복문(for문) 기본 형식
반복문(for) 기본 형식 반복문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은 리스트(list) 안의 요소들을 하나씩 꺼내 써먹는 것이다. 파이썬 리스트 안의 가장 작은 수, 가장 큰 수, 짝수, 홀수, 갯수, 최대값, 최소값 등을 구할 때 쓸 수 있다.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 5보다 큰 수 출력 for number in num_list: if number > 5: print(number) # 리스트 안 짝수만 출력(2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인 수만 출력) for number in num_list: if number % 2 == 0: print(number) # 리스트 안 홀수만 출력(2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 아닌 수만 출력) for number in num_l..
2021.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