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를 썼어도 object 안의 무엇은 바뀐다.
JS에서 let은 새로운 것을 만들 때 쓰고, 한번 생성하면 다시 안써도 된다.
const는 상수를 의미한다.
const로 만들면 업데이트 할 수 없다.
const를 기본으로 쓰고 업데이트 하고 싶은 것에 let을 쓴다.
JS를 배우면서 앞부분에서 배우는 내용이다. 하지만 const로 선언했어도, object에서 object 자체를 수정하는 것이 아닌 object 안의 무엇을 수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const player = {
name: "player",
points: 10,
fat: true,
}
console.log(player);
player.fat = false;
console.log(player);
// const인데 .fat이 false로 바뀌는 이유.
// object안의 무엇을 수정하는 거지, 오브젝트 자체를 수정하는것이 아니기 때문
// 만약 constant 전체를 하나의 값으로 업데이트하려고 하면 문제가 생긴다.
// 예를 들어 play.fat이 아니고 player = false로 하면 error가 발생한다.
반응형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동기 작업과 비동기 작업 (17) | 2022.03.03 |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spread 연산자 (27) | 2022.03.03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비구조화 할당 (17) | 2022.03.03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단락회로 평가 (27) | 2022.03.03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삼항연산자 (34) | 2022.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