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for문에서 중요한 개념
파이썬 for문에서 중요한 개념은 ,
for문 안에 들어온 코드가 자료구조의 데이터 개수만큼 반복된다는 것
한글 = ["가", "나", "다"]
for 단어 in 한글:
print("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한글이라는 리스트안에 "가", "나", "다" 3개의 요소가 들어가 있고,
for문으로 한글에 포함된 단어라는 변수를 뽑아서 돌리고, 출력은 "가나다라마바사"를 3번 출력한다.
처음 이걸 봤을 때,
'한글안의 단어라는 요소를 하나씩 뽑아서, 출력은 "가나다라마바사"로 한다??? 이게 무슨 소리지??? 오류나는거 아니야???'
라고 생각했다.
for문을 돌리는데 중요한 것은 '요소의 개수가 몇 개인가?' 이다. 한글이라는 리스트에 3개의 요소가 있고, for문은 한글이라는 리스트를 통해 3번 반복(개수만큼 반복)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처음 출력은 리스트의 0번째 인덱스인 "가"에서 "가나다라마바사"를 출력한 것이고, 그 다음으로 "나"에서 "가나다라마바사", "다"에서 "가나다라마바사"를 출력한 것이다.
아래와 같은 경우는 가, 나, 다 출력된다.
한글 = ["가", "나", "다"]
for 단어 in 한글:
print(단어)
>>> 가
>>> 나
>>> 다
for문을 요소의 수만큼 3번 반복하는데, 단어라는 변수를 프린트하기 때문에, 가, 나, 다 요소 자체를 차례로 돌아가면서 출력하는 것이다.
또 하나 배워간다.
반응형
'파이썬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를 위한 Python documentation (6) | 2022.01.11 |
---|---|
파이썬 조건문(if), 반복문(for) 줄이기 (27) | 2021.12.21 |
파이썬 try - except 예외처리 (37) | 2021.12.21 |
파이썬 함수(def) 기본 형식 (2) | 2021.12.20 |
파이썬 반복문(for문) 기본 형식 (29) | 2021.12.20 |
댓글